아이엘츠는 절대 평가 시험으로 절대적 채점기준이 있습니다.
라이팅도 공식적 채점 기준이 있습니다.
오늘은 아이엘츠 라이팅 채점 기준에 대하여 이야기 해보겠습니다.
각 점수 별로 원하는 레벨이 다르지만 절대적 4가지 라이팅 채점 기준이 있습니다.
1.Task Response
Task response는 응시자의 사고능력과 이해력을 평가하는 항목입니다. 주어진 질문을 정확히 파악한 후 이에 따라 에세이를 작성했는가를 측정합니다. 에세이 질문은 한 두가지의 요구사항(task)이 있는데 이를 정확히 파악한 후 이에 부합(response)하는 에세이를 써야 합니다.
Task Response를 위한 Tips
1. 질문의 의도를 파악하세요. 문제를 꼼꼼히 읽고 문제가 요구하는 지시사항을 이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많은 응시자들이 에세이를 작성하는 것에만 몰두한 나머지 질문내용에 맞지 않는 글을 쓰기도 합니다. 문제에 부합하는 에세이를 쓰는 것을 IELTS Writing Test는 매우 강조하고 있습니다. “Take Response”를 채점기준의 맨 처음에 공시하는 데에는 충분한 이유가 있으니 에세이를 써 내려 가기 전에 꼭 시간을 할애해 질문의 요지를 따져보시기 바랍니다.
2. IELTS Academic Writing Task 2의 질문은 크게 argument type(찬반 논쟁 타입)과 descriptive type(정보, 사실 설명 타입)이 있습니다.
A. 찬반논쟁 타입의 질문 (Argument Question)
There are current debates regarding the use of uniforms in schools. In your opinion, is it a good policy for schools to require students to wear uniforms? Why or why not? Support your opinion with examples and/or explanations.
(현재 교복착용에 대한 논쟁이 있다. 학교에서 학생들에게 교복 착용을 요구하는 것이 좋은 방침이라고 생각하는가? 당신의 의견을 적절한 예와 설명으로 밝히시오. )
--> 교복을 입는 것에 대해 응시자의 의견을 물어보고 있습니다. 교복 착용의 찬성 또는 반대 의견의 에세이를 적절한 예문,설명을 통해 작성하는 것이 문제의 요구사항(Task)입니다. 이 요구사항에 부합(response)하는 글을 써야 하며 task와 관련이 없는 글을 쓰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B: 정보, 사실 설명 타입의 질문 (Description Question)
These days, there are many types of fast-food chains around the world. What do you think are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eating fast food, like hamburgers and fried chicken? Support your answers with examples or explanations.
(요즘, 전세계적으로 다양한 형태의 패스트푸드 체인들이 있다. 햄버거, 프라이드치킨등과 같은 패스트푸드를 먹는 것의 장단점이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적절한 예와 설명으로 설명하시오. )
--> 패스트푸드의 장점과 단점을 설명하라고 요구하고 있습니다. 패스트푸드를 찬성하는지, 반대하는지 응시자의 의견을 물어보는 질문이 아닙니다. 적절한 예와 설명으로 장단점을 설명하는 에세이를 쓰는 것이 이 문제의 핵심입니다.
3. 대개, 질문의 첫번째 문장에서 task와 관련된 배경지식을 얻을 수 있으니 눈여겨 보시기 바랍니다.
Many say that people who live in modern society are more stressed as compared to the people who lived in the past. What do you think are the causes of stress? Cite examples on how to alleviate stress.
--> 첫번째 문장을 보면 질문에 대한 배경지식으로 참고할 내용이 있습니다.
4. 에세이를 본격적으로 쓰기 전에 Brainstorming을 하고 에세이 소재가 될만한 idea들을 적어 놓으세요.
각각의 idea를 뒷받침할 근거를 적어 놓는 것이 좋습니다. 개인적인 경험도 괜찮습니다.
5. 250단어 이상의 에세이를 요구하기 때문에 응시자들은 에세이의 단어수를 늘이기 위해 불필요하거나 주제와 벗어난 정보를 쓰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경우 Take Response 항목에서 감점의 요인이 됩니다. 또한 질문에 나온 단어를 그대로 카피하여 에세이 본문에 쓰는 것도 안됩니다. 채점관은 카피된 단어를 제외하고 에세이 단어수를 셉니다.
2. Coherence & Cohesion
Coherence & Cohesion은 한국인 응시자가 가장 난감해 하는 채점항목입니다. 자세하게 설명되어 있는 자료가 없어서 IELTS를 처음 대하시는 분들이 가장 많이 질문하는 항목이기도 합니다. 되도록 자세히 설명해 드리겠으니 꼼꼼히 학습하시기 바랍니다.
사전을 찾아보면 coherence는 문체나 논리등의 일관성이라고 설명하고 cohesion은 언어의 결집성이라고 풀이하고 있습니다. 무슨말인지 감이 안오네요…^^ 쉽게 말씀드리자면 coherence는 에세이가 얼마나 논리정연한지를 평가하는 것입니다. 좋은 coherence를 위해선 에세이를 뒷받침하는 아이디어들이 일관성 있게 준비되어 introduction, body, conclusion의 글의 순서가 합당하게 구성되어야 합니다. 서론, 본론, 결론으로 이어지는 에세이 구성의 중요성에 대해서는 다들 잘 알고 있다고 생각되어 생략하겠습니다. Introduction, body, conclusion는 에세이를 구성하는 문단 요소이며 이들 각각의 문단은 topic sentence -> supporting sentences -> concluding sentence (생략가능)의 구조로 구성되어야 합니다. Coherence에 대해 요약하자면, 글 전체의 구성이 introduction, body, conclusion의 문단으로 되어야 하며, 이들 각각의 문단은 topic sentence -> supporting sentences -> concluding sentence (생략가능)의 구조로 전개 되어야 바람직합니다.
채점 항목이 “Coherence & Cohesion”이니까 coherence와 cohesion이 비슷한 개념이라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하지만 이 둘의 개념은 사뭇 다릅니다. Cohesion은 문장과 문장이 자연스럽게 연결되는지를 평가합니다. 핸들폰을 분실 했다가 찾은 일을 셜명하는 경우를 예로 들면, “핸드폰을 잃어 버렸다. 하루 종일 찾았다. 동생이 저녁에 들어왔다. 동생이 내 핸드폰을 가지고 있었다.”와 같은 글은 cohesion이 좋은 에세이라고 할 수 없습니다. “핸드폰을 잃어 버려 하루 종일 찾느라 분주했다. 저녁이 되어 귀가한 동생에게 물어보니 자기가 내 핸드폰을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식으로 연결이 매끄러워야 시간상 순서가 명확해지고 글의 논리가 자연스럽게 전개됩니다. 좋은 cohesion의 에세이를 쓰기 위해서는 “ as a result, however, accordingly, in addition, so, and, but”과 같은 문장의 연결어들이 적절히 사용되어야 하며 이러한 연결어들을 cohesive device라고 합니다. 아래 샘플에세이를 coherence와 cohesion의 관점에서 살펴보겠습니다.
1 The uniforms that students wear represent different kinds of schools. Also, uniforms are symbols of unity and discipline. Therefore, in my opinion, school officials should require students to wear their school uniforms. This essay will discuss some advantages of having uniforms.
2 Firstly, school uniforms show that everyone is equal. Uniforms have the same styleand quality. A rich student and a poor student has to wear the exact uniform. Nobody is excused from wearing school uniforms. Therefore, wearing school uniforms shows that everyone is equal.
3 Secondly, school uniforms encourage unity and cooperation. For example, students can easily see who their classmates are when there are school events. Also, a student will be encouraged to cooperate in school events when he is wearing his school uniform. Furthermore, it will be easier for a student to recognize his schoolmates when there are competitions with other schools.
4 Lastly, school uniforms also emphasize discipline. Most students act in more respectable manners when they are wearing their school uniforms. Also, there are students who are proud of their schools. Therefore, they always behave when they are wearing their uniforms because they do not want to bring shame to their school. In addition, requiring students to wear the proper school uniform will train them to follow instructions and other regulations. Hence, the wearing of school uniforms helps in training students to be more disciplined
5 In conclusion, school uniforms have an effect on the behavior! of students. Hence, the policy requiring students to wear school uniforms should be supported. Parents, guardians and school officials should support this rule. Moreover, students should show their respect to their school by wearing the proper uniform.
(261 words)
* Coherence
이 예문은 글쓴이의 아이디어가 논리정연하게 구성되어 coherence가 잘 구현되어 있습니다. 첫문단(1)에서 소개한 에세이의 주제를 2~4번째 문단에서 원인과 해결책으로 나누어 잘 설명해 주고 있습니다. 그리고 마지막 문단(5)에서 에세이의 핵심 포인트를 반영한 결론으로 매끄럽게 마무리 하고 있습니다. Introduction에서 제시한 주제를 염두하고 body와 conclusion을 진행해야 좋은 coherence의 에세이를 쓸 수 있습니다.
* Cohesion
별색의 단어들은 문장을 매끄럽게 연결해 주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결어들을 적재적소에 배치해 문장의 논리적 연관성을 높여야 좋은 cohesion의 에세이가 됩니다. 이러한 연결어를 cohesive device라고 하는데 전문장의 아이디어를 다음 문장으로 매끄럽게 전달해 주거나 다른 아이디어로 화제를 전환해 주는 역할을 합니다. First, another point is that, lastly, in conclusion등으로 아이디어를 논리적 순서에 따라 풀어나가는 것을 주의 깊게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Cohesive Devices
위의 에세이에서 살펴본 것처럼 cohesive device는 단어, 문장, 문단을 매끄럽게 하는 역할을 부사, 접속사, 전치사 등등을 말합니다. 이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다음의 예문을 보면 짧은 문장으로 나열되어 있어 문맥이 좋지 않습니다. cohesive Devices를 이용해 이를 바꿔 보겠습니다.
예)
The older generation feels challenged by the youth. They push themselves to do their best. This is a good effect of competition. It adds to tension. It adds to anxiety.
(좀더 나이든 세대들은 젊은 세대에게서 도전 받는 것을 느낀다. 그들은 최선을 다한다. 이것이 경쟁의 좋은 효과이다. 이것은 긴장을 더한다. 이것은 걱정을 더한다.)
--->
The older generation feels challenged by the youth. As a result, they push themselves to do their best. This is a good effect of competition; however, it also adds to tension and anxiety.
(좀더 나이든 세대들은 젊은 세대에게서 도전 받는 것을 느낀다. 그 결과 그들은 최선을 다한다. 이것이 경쟁의 좋은 효과이지만 긴장과 걱정을 더한다.)
* “As a result”를 이용하여 문장과 문장의 흐름을 자연스럽게 하고 “세미콜론(;)”, “However”, “Also”로 단문을 복문으로 만들었습니다.
cohesive device는 Transitional Words, Conjunctions, Pronouns & Possessive Adjectives입니다. 자
COHERENCE & COHESION 채점 세부 항목
Coherence & Cohesion은 다음의 세부사항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채점합니다. 하나씩 살펴보겠습니다.
Choppy Sentences (단순한 문장의 나열)
짧고 단순한 문장을 연달아 쓰는 것은 좋지 않습니다. 문장의 형식을 다양하게 하여 읽는이가 리듬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단문 즉, 주어-동사로 구성된 단순한 문장을 나열하면 초등학생의 글처럼 유치해집니다. 짧은 단문들은 앞서 배운cohesive devices를 이용해 복문과 중문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
예:
I keep a journal. I like to write. I like to jot down personal reminders. I seldom forget import!!!ant dates and events.
수정 :
I keep a journal because I like to write. Also, I like to jot down personal reminders. Therefore, I seldom forget import!!!ant dates and events.
Fragments and Run-on Sentences (불완전 문장, 구두점 오류문장)
A. Fragments
문장이 주절과 종속절로 이어진 경우 둘간의 결합을 제대로 하지 않고 불안전한 문장으로 만드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문장을 “Fragments”라고 하는데 아래 예문은 since절(종속절)에 대응하는 주절이 없는 불안전 문장입니다.
예 : Since parents nowadays are aware of the intense competition in the society
수정1 :
Since parents nowadays are aware of the intense competition in the society, they do their best to help their children enter well-known universities.
(요즘 부모들은 사회에서의 격심한 경쟁을 알고 있기 때문에 그들은 자녀가 유명한 대학에 들어가도록 최선을 다한다.)
B. Run-on Sentences
구두점을 소홀히 하면 문장을 이해하기가 어렵습니다. 영어는 마침표뿐만 아니라 쉼표도 굉장히 중요한 역할을 하니 쉼표 사용에 각별히 주의를 기울이시기 바랍니다. 마침표, 쉼표, 콜론 등으로 끊어 주지 않은 문장을 “Run-on Sentences”라고 합니다.
Example:
Art enhances satisfaction and happiness and the government should still encourage art despite its being a secondary need.
Revisions:
A. Art enhances satisfaction and happiness. The government should still encourage art despite its being a secondary need.
(예술은 만족감과 행복을 높인다. 정부는 예술이 부수적인 욕구일지라도 예술지원을 계속해야 한다.)
->마침표를 넣어 두문장으로 완전히 분리 합니다. ( . )
Abrupt Changes in Tone and Ideas (아이디어의 논리적 연결)
아래 예문을 보시면 cohesive device가 어떻게 두 idea를 연결하는지 살펴 볼 수 있습니다.
Example:
Keeping a journal helps remind people of the activities they have to do. The night before, a person can jot down a checklist of the things that he has to do the next day. He can tick his list off as he accomplishes his tasks one by one. It prevents people from forgetting import!!!ant tasks. It prevents people from forgetting events.
Revision:
Keeping a journal helps remind people of the activities they have to do. For example, the night before, a person can jot down a checklist of the things that he has to do the next day. Then, he can check his list as he accomplishes his tasks one by one. Therefore, it prevents people from forgetting import!!!ant tasks and events.
지금 살펴 본 것은 문장의 연결 관계였는데 문단(paragraphs)의 연결도 또한 중요합니다. firstly, secondly등을 문단 머리에쓰면 essay가 유기적으로 연결된 흐름을 갖게 됩니다. 단, ‘on the other hand’, ‘moreover’, ‘furthermore’등과 같은 표현을 문단 첫문장에 쓰면 안됩니다. 이들 표현은 앞 문장의 정보를 뒷받침하거나, 반론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문단의 시작글로는 어색합니다. 그리고 능동형 문장을 여러 번 썼다면 수동형 문장을 삽입하거나, “It is said that”과 같은 표현을 이용해 인용문을 만들어 문장의 스타일을 다양하게 해줄 수 있습니다.
Coherence와 Cohesion을 위한 Tips
상황에 맞는 적절한 cohesive devices의 적용법을 익히세요.
아이디어전개를 상황에 맞게 다양하게 하세요. 시간, 공간, 원인과 결과, 비교나 대조등에 따라 전개 하세요.
각 문단은 아래의 세가지 기본 문장구조로 구성하세요.
1. Topic sentence
2. Supporting sentences
3. Concluding sentence (optional)
에세이는 아래 세가지 기본 문단구조로 구성하세요.
1. Introduction
2. Body
3. Conclusion
3. Lexical Resource
응시자의 단어나 표현사용이 얼마나 정확하고 유창한지도 IELTS의 채점기준입니다. 벼락치기로 IELTS를 공부하시는 분이 가장 어려워하는 채점항목이 바로 이 “Lexical Resource”인데 어휘력을 평가한다고 생각하면 무리가 없습니다. 다만, 단순히 단어를 얼마나 많이 알고 있는지를 평가하는 것은 아닙니다. 상황에 맞는 정확한 단어 선택과 academic task에 걸맞는 수준 높은 어휘력을 보여줘야 좋은 점수를 받을 수 있습니다.
Tips for LEXICAL RESOURCE
1. 대명사의 사용에 유의하세요.
대명사를 쓸 때는 지칭하는 단어를 명확히 해주어야 합니다. 그리고 대명사는 앞에 말한 대상이나 내용을 다시 언급할 때 쓰기 때문에 문단의 시작을 대명사로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앞 문단의 대상을 언급하는 대명사 사용은 옳지 않습니다. 또한 순서, 단.복수, 성(姓)을 유의해야 합니다.
Examples:
(O) Art is one way of letting out emotions. It is a means of self-expression!!!. (예술은 감점을 표출하는 한 방법이다. 이는 자기 표현의 수단이다.)
--> “it” 은 앞 문장의 “art”를 지칭합니다.
(X) Art is one way of letting out emotions. These are a means of self-expression!!!. (예술은 감점을 표출하는 한 방법이다. 이들은 자기 표현의 수단이다.)
--> 대명사의 수 (these)가 앞문장의 art와 같지 않습니다. art가 단수이므로 이를 대신하는 대명사 역시 단수(it)으로 해야 합니다.
2. 단어의 선택을 다양하게 하세요.
동일한 단어를 반복하여 사용하지 말고 비슷한 뜻을 가진 단어들을 이용해 에세이를 꾸며야 Lexical Resource항목에서좋은 점수를 받을 수 있습니다. 유의어, 반대어, 관련어들이 잘 정리되어 있는 Thesaurus사전을 통해 어휘실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좋습니다. 물론 비슷한 뜻을 가졌다고 하여 단어를 아무렇게나 교체하여 쓸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유의어 중에서도 문맥에 맞는 단어의 선택이 중요합니다.
Lexical Resource Exercises
Lexical Resource에 관련한 연습문제를준비했습니다. 뜻이 애매하거나(vague), 적절하지 못한 단어(incorrect choice of word), 구두점에러(punctuation), informal한 표현 등등을 지적해 놓았으니 동의어사전등을 이용하여 한번 고쳐 보시기 바랍니다.
Technological advancements have made people’s lives some kind of easy (incorrect expression!!!). These days, it is normal to have appliances and stuffs (vague word) that help people do tedious housework. For instance, people usually use vacuum cleaners to help clean his (pronoun agreement) houses. They use washing machines to wash their clothes and dryers to dry them. Most households also have modernization (incorrect word form) kitchen devices, like ovens and dishwashers, which truly, truly (repetitive) speeds updomesticated (incorrect word form) activities. With these modern gadgets, people have morespear (misspelled) time for their families and hobbies.
Paragraph 1 Revised
Traveling gives people the opportunity to learn and to experience other practices. When a person travels to another country, he is directly exposed to the cultures and traditions of the place he is visiting. He can ask local residents to properly explain practices that he does not completely understand. A traveler can also gain more insight about a country’s culture by going to historical sites, museums, parks and other places that exhibit local culture.
4. Grammatical Range & Accuracy
Grammatical Range & Accuracy는 문법에 관련한 채점항목입니다. 유독 문법에 자신감을 많이 갖는 한국인이 가장 만만하게 생각하는 부분입니다. 하지만 문법적 실수가 적다고 좋은 점수를 받는 것은 아닙니다. 문법적으로 실수의 여지가 별로 없는 평이한 문장들로만 에세이를 구성하면 문법오류가 없더라도 좋은 점수를 받을 수 없습니다. 따라서 다양한 문법지식을 보여주어야 합니다. 가정법, 관계사절, 분사구문, 비교법 등등의 여러유형으로 문장을 만들어 수준 높은 에세이를 쓰세요. 그리고 단문, 복문, 중문등 문장형태를 다양하게 해서 에세이를 리듬감있게 만드는 것도 필요합니다. 평가기준은 문법사항에 있어서의 Range(범위) 그리고 Accuracy(정확성)입니다. 한가지 더, 채점관은 단어가 아닌 문장을 기준으로 응시자의 문법수준을 체크한다는 것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Grammatical Range and Accuracy을 위한 Tips
간단한 문장을 중문,복문으로 바꿔 보는 연습을 많이 하세요.
에세이에서 최대한 다양한 형식의 문장을 보여주세요.
구두점 또한 굉장히 중요합니다. 점 하나 잘못 찍으면 문장 전체가 엉뚱한 뜻을 갖게 될 수 있습니다.
주어-동사의 수일치를 틀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전체 주어와 전체 술어를 잘 매치시키세요.
병렬구조의 문장 역시 실수가 많습니다. 단어나 아이디어를 나열할 때는 같은 형식으로 반복해야 합니다. 자칫 소홀하기 쉬운 부분이니 조심하시기 바랍니다.
slow and steadily(x)? slowly and steadily
beautifully and bright(x) ? beautiful and bright
People have less time for themselves and same to their families. (x)
--> People have less time for themselves and for their families
실제 아이엘츠 채점기준 표 첨부해놓았습니다
Task1과 Task2 Band descriptor 첨부 확인해보세요
댓글
댓글 쓰기